블록체인 (1) 썸네일형 리스트형 해시(Hash)함수란? 해시 + 함수죠? 우선 함수는 중학교때 배웠던거 기억하시나요? y = f(x) 에서 f(x)가 함수죠 ㅎㅎ. 그림으로 표현하면 이런겁니다. x값 (파라미터, 인자, 변수)를 넣으면 y값(결과값)이 달라지죠. 해시라는 말은 hash가 잘게 자르다라는 말이 있다고 하네요. 제가 해시 함수의 알고리즘은 잘 모릅니다..... 해시함수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. 1. 결과값의 길이는 고정이다. 2. 입력값이 하나라도 바뀌면 결과값은 완전히 달라진다(눈사태 효과) 3. 결과값으로 입력값은 알 수 없다. 4. 같은값을 입력하면 같은 결과값이 나온다. 우선 1번의 경우 sha-256함수(해시함수의 종류) 256비트의 공간을 활용하기때문에 결과값 y는 64자리의 문자열으로 고정됩니다. 하지만 해시함수는 암호기술로 많이 .. 이전 1 다음